이직확인서 관련 법적 근거 (근로기준법, 고용보험법)

1. 이직확인서의 법적 성격

이직확인서는 퇴직 근로자의 근무 이력·퇴직 사유를 증명하는 공식 문서입니다. 실업급여 심사와 경력 증명에 쓰이며, 사용자 발급 의무가 법에 근거합니다. 즉, 회사가 임의로 거부하거나 지연할 수 있는 성격의 서류가 아닙니다.

2. 근로기준법상 근거(요지)

  • 발급 의무: 근로자 요청 시, 사용자는 지체 없이 재직·퇴직 등 근로관계 사실을 증명하는 서류를 교부해야 함.
  • 기재 항목: 근무기간, 업무내용(직종), 퇴직일, 퇴직 사유 등 사실에 대한 확인.
  • 제재: 정당한 사유 없이 발급을 거부·지연하면 과태료 등의 행정제재 대상이 될 수 있음.

※ 실제 조문번호·세부 문구는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최신본을 확인하세요.

3. 고용보험법상 근거(요지)

  • 실업급여 심사: 구직급여 수급자격 판단을 위해 이직확인서가 필수 서류로 활용됨.
  • 전산 제출: 사용자는 고용보험 전산망에 정확한 이직 사유퇴직일 등을 제출해야 함.
  • 허위 기재 금지: 허위·누락은 부정수급 및 행정·형사상 책임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전산 제출·양식·처리상태는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조회 가능.

4. 사업주 의무 vs 근로자 권리

사업주(회사)

  • 근로자 요청 시 지체 없이 발급·전산 제출
  • 퇴직 사유는 사실대로 기재(자·비자발적 등)
  • 거부·지연·허위 기재 시 제재 가능

근로자

  • 발급 요구·정정 요구 권리
  • 전산 제출 여부 직접 조회 가능(고용보험)
  • 미발급·지연 시 고용센터 신고 또는 국민신문고 민원

5. 실전 체크리스트 & 바로가기

  1. 회사에 증거가 남는 방식으로 발급 요청(메일/공문)
  2.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전산 제출 여부 확인
  3. 지연·거부 시 고용센터 행정지도 요청
  4. 허위 기재 의심 시 정정 요구 → 불응 시 민원

※ 본 글은 이해를 돕는 요약입니다. 최신 조문·세부 절차는 국가법령정보센터와 고용보험 공지를 확인하세요.

다음 이전